플라스틱 제품 제조 회사 콘텐츠 마케터의 제품 개발 이야기
제조업 현장을 몸소 느끼기 전 저는 일상에 만나는 제품들이 어떻게 탄생되고 우리를 만나게 되는지 호기심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저처럼 생각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소비자에게 닿을때쯤 제품은 소비자가 관심 가질만한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니까요 이를테면
가격, 디자인, 품질, 브랜드 같은 요소들 말이죠
전 이전에는 그런 요소들에 눈이 더 많이 가던 사람이었어요.
그런데 제조 회사에 들어와 생산현장에서 만난 많은 생산품들을 보고
도대체 이 많은 생산 품목들은 어디로 부터 탄생되어 어떻게 소비자에게 닿는 걸까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때마침 블로그를 관리자로서 업무를 진행하게 되면서 저희 회사 사업내용의 A to Z를 조사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블로그를 기획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만날수 있었던 신규 고객사들과 협업하는 생생한 현장 분위기 속에서 느끼고알게 된 이야기들을 '티스토리'에서는 공유할 예정이에요.
오늘은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대하여
몇 개월 전의 저처럼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겪어보고 느낀 제가
여러분의 눈높이에 맞춰 조금은 쉽고 간결하게 이야기 드리고자 합니다.
제품의 기획 단계
제품 기획 이란 첫 단추로 어떤 제품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로부터 출발해서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각화, 시키고 제품이 가진 목적성에 알맞은 전략적인 계획을 짜는 단계에요.
상품을 기획하는 목적성에 맞게 앞으로의 프로세스를 진행해야 하는 만큼 정말 중요한 단계입니다.
예시로 쉽게 풀이해 볼게요
1. 특별한 헤어드라이기를 만들만한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2. 이 특별한 헤어드라이기를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판매해서 이득을 취해야 합니다.
3. 특별한 상품의 특성과 저렴한 가격을 승부수로 둘지 / 특별한 상품의 특성과 더불어 높은 가격이지만 고퀄리티의 제품을 승부수로 둘지 결정해야 해요.
4. 3번까지의 과정이 끝나면 앞으로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기획자가 중심을 잡고 제품의 총괄적인 지휘를 하게 됩니다.
최대한 쉽고 간소화해서 설명했지만 SWOT 분석이라던지, 소비자 타겟 설정, 컨셉북등 정말 다양한 작업이 요구됩니다.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회사 혹은 유니콘 유망주 기업의 PM 혹은 상품 기획자들이 하는 업무의 기본이 이런 것들이 아닐까 싶습니다.(필자가 정말 도전해 보고 싶었던 직무에요)
이 4번까지의 과정의 구체화가 이루어지면 이제 앞으로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업체 혹은 담당자들을 찾아냅니다.
제품 디자인 / 기구설계
자 이제 내가 원하는 제품을 세상 밖으로 꺼낼 본격적인 실체화 작업이 필요해요.
기획 단계에서 내가 설정한 목표를 잘 끌어낼 수 있는 합리적인 가격의 디자이너와 기구 설계사를 초이스 합니다.
제품이 가져야 할 특성과 기능적인 요소들에 필요로 하는 부분까지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모두의 호흡이 맞아떨어질 때
높은 퀄리티 제품의 설계가 완성될 수 있죠.
이 과정도 정말 쉽지 않아요 기획자, 디자이너, 설계사 세명이 많은 미팅을 거치며 조율해 나갈 포인트들이 굉장히 많답니다.
순조롭지 않더라도 이 단계에서 일어난 마찰들로 하여금 뒷부분의 생산 공정들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세요.
자 이렇게 디자인, 기구 설계가 끝나고 전체적인 3D 도면 등이 완성이 되었으면 요즘은 디자이너 분들이나 기구설계하시는 분들이 3D 프린터를 보유 중인 경우가 많아 목업(기획 단계의 검토를 위해 실물과 비슷한 형태의 시제품을 만드는 행위와 결과물 Mock-up) 제작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목업(Mock-up)은 디자인, 설계, 기획, 생산 등에 정말 다방면으로 참고 할수있는 요소이니 제작하면 좋겠죠?
목업 제작까지 완료되면 이번 단계는 끝입니다!
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 업체 계약
두 번째 과정의 결과물들을 가지고 협력하여 제품 생산을 맡아줄 업체를 찾아 제품 생산을 시작하게 될 텐데
필자가 몸담고 있는 유진테크솔루션의 경우엔 대량 제품 양산에 효율적인 금형사출을 통해 제품을 양산하고
도장과 인쇄(후가공)작업으로 양산된 제품의 퀄리티를 향상시켜 고객사에게 전달하고 있어요.
제품의 머천다이징(Merchandising) 과정에서 기획된 제품 생산량을 고려해 생산 방식을 결정하고
해당 방식의 적합한 제조업체를 찾는 것이 첫 단추입니다.
충분한 리서치와 견적문의를 통해 적합한 업체 몇 곳을 찾아내고 미팅을 통해 좋은 업체와 함께 생산 일정에 맞춰 좋은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것이 제품 생산의 핵심 포인트입니다.
이 단계가 실패하게 되면 앞전에 있었던 과정들속 노력은 의미가 사라지고 마니까요
이러한 제품 제조 방식이 생소한 분들은 https://blog.naver.com/yujintechsolution 저희 회사 블로그 참고해 보셔도좋을 거 같습니다.
본격적인 제품 양산 돌입
저희 회사와 같은 사출을 기본 베이스로 하는 업체의 경우
본격적인 제품 양산 전에 시사출과 샘플 제작을 통해 양산될 제품들의 퀄리티를 확인하고
기획 단계의 제품 형태와 일치한다면
계획한 제품 유통 과정에 맞추어 본격 제품 양산에 돌입합니다.
원하는 물량이 원하는 퀄리티로 나오기 위해서 모두가 집중해야 할 중요한 시기에요.
순조롭게 진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몇 번의 조율을 해야 하는 상황을 거쳐야 하는 경우도 생기곤 한답니다.
유진테크솔루션에서 진행하는 고객맞춤형 제품 제조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 단계에 맞추어 생산일정과 높은 퀄리티의 제품 생산을 위해 플라스틱 제품 제조 공정 4가지 요소를 직접 관리, 진행 하고있습니다.
금형, 사출, 도장, 인쇄를 한 기업체가 직접 관리/진행하며
제품 기획 목표와 일정에 부합하도록 공정별 즉각적인 피드백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이 유진테크솔루션의 특별함입니다.
이렇게 양산까지 완료되면 제품들의 유통 혹은 보관하게 되고 일차적인 제품 개발의 생산 단계까지는 끝마치게 됩니다.
이후에는 판매 전략에 맞추어 제품을 판매하고 사후관리를 통해 제품을 개선하며 추후 이어질 판매량에 맞게끔 생산 일정을 기존 협력사와 조율하는 것 등의 해야 할 일들이 남아있죠.
이렇게 오늘은 제품 개발 단계에서 제품의 생산 단계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위 내용 이후의 내용들도 있고 위 내용 속 생략되고 간소화된 내용들도 정말 많아요
아마 읽고 계신 몇 분 중 어떤 분은 제품 하나 만드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가 투자되는 건 아닌가 싶을 수 있습니다.
감히 장담하지만 투자와 에너지는 절대 과하지 않고 늘 부족할 거라 생각해요.
왜냐하면 지금까지 거쳐온 모든 과정들의 결과물이 곧
내가 취하고자 했던 목표에 얼마나 닿았는가 노골적으로 나타날 테니까요.
그럼, 오늘 포스팅 마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진테크솔루션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yujintechsolution